티스토리 뷰

반응형

[기업개요]

 뉴욕에 본사를 둔 G-III Apparel Group, Ltd. (GIII)는 라이센스 브랜드, 소유 브랜드 및 개인 상표 브랜드에 따른 의류 및 액세서리 제조, 디자인 및 유통업체입니다. 회사의 포트폴리오에는 아웃웨어, 드레스, 운동복, 수영복, 여성복, ​​여성용 핸드백, 신발, 소형 가죽 제품, 겨울용 액세서리가 포함됩니다. G-III는 DKNY, Donna Karan, Calvin Klein, Tommy Hilfiger 및 Karl Lagerfeld 등 5개 글로벌 메이저 브랜드를 포함하여 40개 이상의 라이센스 및 독점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G-III의 소유 브랜드에는 Donna Karan, DKNY, Vilebrequin, G.H. Bass, Andrew Marc, Marc New York, Eliza J 및 Jessica Howard가 있습니다.

 이 회사는 도매 사업과 소매 사업 두 부문으로 운영됩니다.

1. 도매 부문(FY18 순매출의 83%)은 도매 판매, DKI, G.H.Bass, Andrew Marc 및 Vilebrequin와 관련된 인터넷 판매 및 라이센스 계약으로 인한 매출로 구성됩니다.

2. 소매 영업 부문 (나머지 회계)은 윌슨 레더, G.H. Bass 및 DKNY 매장과 Calvin Klein Performance 및 Karl Lagerfeld Paris 매장이 있습니다. 이 회사는 2018년 4월 30일 현재 155개의 윌슨 레더 매장과 133 개의 G.H. Bass 매장, DKNY 매장 49개, Karl Lagerfeld Paris 매장 9개, Calvin Klein Performance 매장 4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부문도 Wilsons 및 G.H를 통한 제품 판매로 구성됩니다.


[요약]

 G-III Apparel Group의 주가는 업계를 앞지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승은 회사의 국제적 확장 노력과 함께 인수 및 파트너십에 중점의 운영에 있습니다. 또한 성장하는 DKNY 및 Donna Karan 브랜드도 고무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DKNY 드레스 및 DKNY luggage의 새로운 출시에 대해 매우 기대하고 있으며 라이프 스타일 범주로 브랜드를 변화시키는 중입니다. 경영진은 라이센싱을 통해 수익을 증진시키고 비즈니스의 마진 구조를 개선하기를 고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8년 1분기 실적이 예상보다 좋아졌으며 견실한 실적 전망을 보이고 있습니다. 실제로, 영업 부문 및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이 전년 대비 향상되었습니다. 그러나 치열한 경쟁과 외환 변동은 여전히 ​​불안 요소로 남아 있습니다.


[매수포인트]

1. 성장 전략 : 회사는 유명 브랜드의 인수 및 라이센스를 포함한 여러 전략을 수행하여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다양한 의류 및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회사를 지향합니다. 2016년 12월 DKNY와 Donna Karan 브랜드의 소유기업인 DKI를 인수했습니다. 또한 2016년 2월, Tommy Hilfiger 드레스, 남성용 및 여성용 아웃웨어 및 luggage에 대한 라이센스와 별도로 스포츠웨어, 드레스, 기능성웨어 및 데님을 포함한 여성용웨어에 대한 라이센스를 신규 계약하여 Tommy Hilfiger와의 관계를 확대했습니다. 또한 2016년 2월에 Karl Lagerfeld 브랜드와 파트너십을 확장했습니다. 회사는 또한 캘빈 클라인과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확대했습니다. 2014년 3월에는 캘빈 클라인 라이센스 계약 기간이 2023년 12월 31일까지로 연장되었습니다. 2017년 8월 Amlon Capital BV와 파트너십을 맺고 마카오, 홍콩, 대만 등 중화 인민 공화국에 있는 DKNY와 Donna Karan의 장기간 라이센스를 취득하여 여성복 및 액세서리를 생산 판매했습니다. 2017년 3월, 회사는 Macy 's와의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계약에 따라 Macy 's는 2018년 2월부터 DKNY 여성 의류 및 액세서리 판매를 위한 독점적인 미국 백화점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2017년 5월, 회사는 PVH Corp.과 여러해 동안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PVH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DKNY 브랜드의 신사복을 디자인 및 유통하고 있습니다.

2. 국제적 확장 : 회사는 전 세계적으로 사업을 확장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회사는 유럽지역의 네덜란드와 스페인에 각각 2개의 매장을 오픈했습니다. 경영진은 또한 중국 본토에 6개의 매장을, 중동에 2개의 매장을 오픈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회사는 Giada와 이탈리아 프리미엄 데님으로 제작하는 100% 생산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데님은 2019년 봄에 유럽, 북미, 중동, 아프리카, 일본 및 한국의 유명 전문점을 통해 출시될 것입니다. 이 외에도 2017년 8월에 G-III Apparel은 Fred Gehring의 투자 펀드인 Amlon Capital BV ( "Amlon")와 협력하여 마카오, 홍콩, 대만을 포함하는 중화 인민 공화국의 도나 카란 (Donna Karan), DKNY의 장기 라이센스를 취득, 여성 의류 및 액세서리를 생산 및 판매한다고 발표했습니다. 

3. 긍적적인 서프라이즈 실적 지속 : 전략적 노력에 따라, 회사는 2019년 1사분기에 예상보다 나은 결과를 보였습니다.  순매출액 6억 1,170만 달러로 예상치인 5억 7000만 달러를 초과했으며 전년도 보다 15.6% 증가했습니다. 결과적으로 경영진은 2019 회계연도에 대한 목표를 설정했다고 볼 수 있으며 지금은 약 29억 9,000만 달러의 순 매출액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현재 주당 순이익이 $ 1.98 ~ $ 2.08로 이전의 목표치와 비교하여 현재 2분기 목표가 주당 2.27 ~ 2.37 달러 범위에 이를 것으로 예상합니다. 2019 회계연도 2분기 동안, 경영진은 1년 전 5억 3천 8백만 달러의 순매출과 비교하여 5억 9천만 달러의 순 매출을 기대합니다. 

4. 성장하는 DKNY 및 Donna Karan 브랜드 : DKNY 및 Donna Karan 브랜드의 실적이 이번 분기에 두배로 증가한 순매출액에 힘입어 낙관적일 것이란 전망입니다. 이 회사는 200개의 Macy 's 매장에서 DKNY 드레스와 DKNY luggage의 새로운 출시에 대해 매우 고무되어 있으며 브랜드를 라이프 스타일 부문으로 다양화합니다. 현재 DKNY 및 Donna Karan 브랜드의 라이센스 취득으로 상당한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일부 유명 라이센스는 PVH, Estée Lauder, Hanes 브랜드, Fossil 및 Luxottica를 포함합니다. 경영진은 라이센싱을 통해 수익을 개선하고 비즈니스의 마진 구조를 개선하기를 고대하고 있습니다. DKNY 남성 운동복 라이센스 업체인 PVH는 남성 컬렉션을 150개의 Macy 's 매장에 출시했고 경영진은 비즈니스 규모를 보다 높이 유지하기 위해 마케팅 및 유통 파트너십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매도포인트]

1. 경쟁 압력 : 회사는 브랜드 인지도, 패션, 가격, 서비스, 스타일 및 품질을 기반으로 의류 업계의 다른 유명 브랜드와 치열한 경쟁에 직면해 있습니다. 회사는 소매점, 백화점, 전문점, 창고, 클럽 및 전자 상거래 업체를 포함한 다양한 소매 업체와 경쟁하고 있습니다. 경쟁력있는 가격으로 고품격 제품을 제공하지 못하면 회사의 시장 점유율이 떨어지고 매출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2. 소비자 심리의 딥 (Dip)이 판매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의류 소매업은 소비자 주도의 소비 산업으로 경제의 건전성에 매우 민감합니다. 경제의 핵심 결정 요소인 소비자 신뢰의 하락은 지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고객들은 금리 인상, 연료 및 에너지 비용의 증가, 신용 가용성, 실업 수준, 가계부채 수준의 상승 등의 거시 경제 요인에 민감하여 소비심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회사의 성장과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환율 변동에 따른 악영향 : 회사는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 많은 순매출을 발생시킵니다. 국제 시장에 대한 높은 노출로 인해 회사는 통화 변동에 취약합니다. 미국 달러화에 대한 외화의 약세로 인해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 가격 인상 또는 이윤율 인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격 상승은 수요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경영진에 따라 일부 해외 사업장은 미국 달러 및 유로화로 지정된 공급 업체의 제품을 구매합니다. 이로 인해 매출원가가 상승하게되어 외환 변동으로 인한 이윤이 적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